변수란 특정 데이터 타입의 값을 담는 상자입니다. 쓰레기를 버릴 때 유리는 유리를 담는 상자에, 종이는 종이를 담는 상자에 분리해 넣는 것처럼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프로그래밍할 때도 정수 값은 정수 값을 담는 변수에, 문자열 값은 문자열 값을 담는 변수에 넣어 주어야 합니다.
변수의 개념
메모리 공간에 해당 변수를 저장할 공간을 만드는 것을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합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1) 해당 변수가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담을 것인지 명시하고 (2) 변수의 이름을 적은 후 (3) ‘;’으로 변수 선언이 끝났다는 걸 표시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세미콜론(;)은 문장의 끝에 찍는 문장의 마침표(.)와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변수의 선언]
(1) 변수가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담을 것인지 명시
int
(2) 변수의 이름을 적음
int a
(3) 쌍반점(;)을 찍음
int a;
변수 선언 법칙
선언한 변수에 등호(=)를 사용해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에 값 저장]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값을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변수를 초기화한다’라고합니다. 즉, 정수 값을 담는 변수 a를 선언하고 동시에 1을 저장하여 초기화하는 것을 int a =1;처럼 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그림 2-3]의 아랫부분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하면 [그림 2-4]와 같습니다.
반응형
변수의 선언과 값 저장 응용
자바 예약어
이번 장에서 공부한 변수를 바탕으로 [코드 2-1]을 분석해 보면 문자열 값을 담는 String 변수 4개에 값을 대입하고 이 값을 출력하고 있습니다. ‘Variables’라는 클래스 이름을 가진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하여 [코드 2-1]을 작성해 봅시다.
여기서 잠깐! char와 String의 차이 char와 String은 둘 다 문자를 담는 데이터 타입이지만, char는 오직 한 글자만 담을 수 있고 String은 여러 글자를 한 번에 담을 수 있습니다. 또한, char는 문자를 담을 때 해당 문자를 ''로 표시해야 하고(ex. char c = 'k';), String은 문자열을 표현하는 해당 문장을 ""로 표시해야 합니다(ex. String str = "Hello!";).